2025/07/30 2

무정전 전원장치(UPS) 내장형 컨트롤박스 구성법

산업 자동화, 스마트 팩토리, 의료기기,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전력 공급의 연속성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직결된다. 특히 전원 차단 시 즉각적으로 동작을 멈추거나, 정전 후 재기동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장비일수록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UPS를 외부 독립 장치로 사용하는 대신, 컨트롤박스 내부에 UPS를 내장하는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UPS 내장형 컨트롤박스는 설치 공간을 줄이고 배선 복잡성을 낮추는 동시에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해결책이다. 본 글에서는 2025년 최신 산업 전기 설계 기준을 반영하여 UPS 내장형 컨트롤박스 구성 방법과 관련된 주요 기술 요소, 설계 시 유의점, 적용 사례 등을 자세히 살펴본다.UPS ..

BMS(배터리관리시스템)와 연동되는 컨트롤박스 설계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성장과 함께 고성능 배터리의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터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는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았고, 이 BMS와 연동되는 컨트롤박스(Control Box)의 역할도 그만큼 중요해졌습니다.컨트롤박스는 단순한 전기 배선 정리함이 아닙니다. 센서, 통신, 제어 기능이 결합한 시스템의 중추 역할을 하며, 특히 BMS와 연계되어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핵심 장치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현재 기준으로, BMS와 연동되는 컨트롤박스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 주요 기능, 통신 방식, 그리고 실제 설계 사례까지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내..